본문 바로가기
운세/운세공부

궁합, 어디까지 알고 있니? | 궁합 뜻과 원리, 기원과 설화, 혼삼재 , 원진살과 육충, 육합과 삼합, 사주궁합, 겉궁합과 속궁합

by 랭크씨 2023. 8. 6.

궁합, 언뜻 시대착오적인 단어 같지만 여전히 유효한 단어가 바로 궁합이 아닐까 싶습니다. '관계 적합성'이니 '호환성'이니 하는 말로 풀어쓸 수도 있지만, '궁합'이라는 단어만큼 남녀의 어우러짐을 잘 표현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하여 “궁합, 어디까지 알고 있니?”라는 제목으로, 궁합 뜻과 원리, 기원과 설화, 혼삼재, 원진살과 육충, 육합과 삼합, 사주궁합, 겉궁합과 속궁합까지 궁합에 관한 거의 모든 것, 알아봅니다.

 

 

 

 

목차

1. 궁합(宮合) 뜻
2. 궁합의 원리
3. 궁합의 기원과 역사
4. 궁합에 관한 설화
5. 궁합에 대한 한자풀이
6. 우리나라의 궁합 풍습
7. 피해야할 궁합 : 혼삼재
8. 서로 만나면 나쁜 띠궁합 : 원진살과 육충
9. 서로 만나면 좋은 띠궁합 : 육합과 삼합
10. 속궁합 : 사주궁합법
11. 오늘날의 궁합

 

 

1. 궁합(宮合) 뜻

 

궁합이란 혼인을 하려는 남녀의 띠(年支)나 사주(四柱)를 일정한 법칙에 대입해서 앞으로 이어질 혼인 생활의 길흉(吉凶)을 미리 헤아려 보는 것을 말한다.

 

 

궁합 일러스트
궁합 어디까지 알고 있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혼인성립에 필요한 절차의 하나로서, 남녀의 생년월일에 의한 궁합과 택일의 관습을 가지고 있는데, 궁합을 보아 사주와 오행에 살(煞)이 있으면 불길하다고 하여 결혼을 하지 않았다. 즉 궁합이란 혼인할 때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신랑 될 사람과 신부 될 사람의 사주를 보아, 배우자로서 두 사람의 적격 여부를 점치는 방법이다.

궁합에는 12지(支)에 따른 겉궁합과 오행에 따른 속궁합이 있다.

 

 

2. 궁합의 원리

 

궁합은 혼인의식의 한 절차인 납채(納采)의 과정에서 보면 된다. 즉, 신랑 측으로부터 신랑의 생년월일시를 기재한 혼장(婚狀)인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부 측에서는 일관(日官)·점사(占師)로 하여금 길흉기부(吉凶忌否)를 점치게 하는데, 이때에 궁합도 함께 보는 것이다.

신부 측에서 점괘가 좋으면 연길(涓吉)이라고 쓴 봉서인, 이른바 택일단자(擇日單子)를 신랑 측에 보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혼인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3. 궁합의 기원과 역사

 

혼인을 앞두고 길흉을 점치는 궁합의 기원은 가취점(嫁娶占)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관습은 춘추시대(B.C.E. 770~403)부터 존재해 왔다. 춘추시대에 쓰인 『의례(儀禮)』 「사혼례(士昏禮)」에는 혼인을 앞두고 남자 쪽에서 길흉을 점쳐, 점괘가 길하면 여자 쪽에 알린다는 내용이 나온다. 또한 반고(班固, 32~92)는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 『의례』 「사혼례」의 문명(問名) 내용을 인용하면서 아내를 맞이할 때 두 사람이 서로 마땅한지를 알아보려고 점을 친다고 하였다. 주자(朱子, 1130~1200) 역시 납길(納吉)할 적에 점괘가 불길하게 나오면 혼인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한편 '궁합(宮合)'이라는 용어는 명대(明代) 임소주(林紹周)가 펴낸 택일서인 『천기대요(天機大要)』 「혼인문(婚姻門)」의 '남녀구궁궁합법(男女九宮宮合法)'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한 고조(재위 B.C.E. 202~B.C.E. 195) 치세에 북방 유목민인 흉노가 침입해 오자 왕실의 여자를 흉노에 시집보내는 등의 조건으로 화친조약을 맺게 되었는데, 당대(唐代)까지 이런 폐단이 계속되자 흉노의 청혼을 거절하는 핑계로 삼으려고 여재(呂才, 605~665)가 구궁궁합법(九宮宮合法)과 합혼개폐법(合婚開閉法) 등의 궁합법을 만들어 시행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궁합을 보는 관습이 전해졌다고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근거는 확실하지 않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궁합은 민간신앙으로 관습적으로 시행되어 왔는데, 과거 당사자간에 접촉이 불가능했던 사회에서 보다 안정된 혼인을 하고자 했던 심리적 요인에서 시작됐다는 주장이 있다.

 

 

4. 궁합에 관한 설화

 

옛날에 자식도 없이 가난하게 사는 등짐장수가 신세를 비관하여 못에 빠져 죽으려다가 산신령으로부터 기이한 안경을 얻게 되었다. 집에 돌아와 안경을 끼고 보니 마누라는 개(戌), 자신은 닭(酉)으로 보였다. 그는 자기 부부가 닭과 개 사이다 보니, 그동안에 자식도 없었고 가난하게 살았음을 깨달았다.

 

그날 저녁 다른 등짐장수부부가 하룻밤을 묵으려고 왔는데, 안경을 끼고 보니 그들 부부는 반대로 남편이 개, 아내가 닭이었다. 그 부부 역시 자식이 없었고 매우 가난했다. 그래서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이 날 이후 부부간의 인연을 서로 바꾸어 살아보았다. 그러자 두 부부 모두 아들을 낳고 많은 재산을 모으며 유복하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궁합이 생긴 까닭에 관해 민간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로 궁합이 갖는 의미를 잘 나타내다.

 

 

5. 궁합에 대한 한자풀이

 

궁(宮) 자는 집(宀) 안에 여러 개의 방(呂)이 있음을 의미하는 글자로, 궁합(宮合)은 '가문과 가문 간의 긴밀한 결합'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속적으로는 '한 지붕(宀) 밑에서 두 개의 입(口)이 어떻게 조화(合)를 이루며 살 수 있을까?'를 의미한다.

 

따라서 궁합은 '가문(배경・지위・재력・학력・직업) 간의 결합'이라는 사회적 의미에서부터 '성적(性的) 조화'라는 생리적 의미까지 두루 포괄하고 있다. 그러므로 남녀 간의 궁합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겉궁합'이라 하고, 생리적 의미를 '속궁합'이라 할 수 있다.

 

 

6. 우리나라의 궁합 풍습

 

한국에서는 사주에 사람의 운명이 나타나 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인 혼인에 반드시 사주를 주고받는 풍속이 있었다. 신랑 될 사람과 신부 될 사람의 사주를 가지고 궁합을 보아, 두 사람이 혼인하기에 적합해야 비로소 혼사를 진행했다.

 

정혼(定婚)한 뒤에는 신랑 될 사람의 사주를 적은 사성(四星)・사주단자(四柱單子)를 여자 쪽에 보냈다. 사주단자가 없으면 저승에 가서도 부부가 서로 만나지 못한다고 여겨서, 여성은 사주단자를 평생토록 장롱 속에 잘 간직했다. 그리고 여성이 죽으면, 사주단자를 관 속에 같이 넣어 주었다.

 

 

7. 피해야 할 궁합 : 혼삼재

 

혼삼재(婚三災)는 특정 띠와 띠가 만나면 부부가 생사이별하고 가산이 흩어지며 병액(病厄)으로 고통을 받고 모든 일을 중도에서 작파하게 된다는 악재를 말한다. 혼삼재는 다음과 같다.

 

호랑이띠, 말띠, 개띠 Vs. 쥐띠, 소띠, 호랑이띠

돼지띠, 토끼띠, 양띠 Vs. 닭띠, 개띠, 돼지띠

뱀띠, 닭띠, 소띠 Vs. 토끼띠, 용띠, 뱀띠

원숭이띠, 쥐띠, 용띠 Vs. 말띠, 양띠, 원숭이띠

 

8. 서로 만나면 나쁜 띠궁합 : 원진살과 육충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오늘날에도 성행하고 있는 궁합법에는 구궁궁합법, 납음오행궁합법, 신살궁합법, 사주 궁합법이 있는데, 이중 신살궁합법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원진살(怨嗔煞, 元嗔煞)이다.

 

원진살이란 혼인을 하게 되면 부부가 서로 원수지간이 되어 평생 불화하며 심지어 생이별이나 사별까지 한다고 여겨 매우 꺼리는 궁합으로, 쥐띠와 양띠, 소띠와 말띠, 범띠와 닭띠, 토끼띠와 원숭이띠, 용띠와 돼지띠, 뱀띠와 개띠가 그것이다.

 

원진살처럼 서로 만나면 나쁘다는 궁합으로 육충(六沖)이 있는데, 호랑이띠와 원숭이띠, 뱀띠와 돼지띠, 쥐띠와 말띠, 토끼띠와 닭띠, 용띠와 개띠, 소띠와 양띠가 그것이다.

 

 

9. 서로 만나면 좋은 띠궁합 : 육합과 삼합

 

육합(六合)과 삼합(三合)은 서로 만나면 좋은 띠궁합이다.

육합 : 쥐띠와 소띠, 호랑이띠와 돼지띠, 토끼띠와 개띠, 용띠와 닭띠, 뱀띠와 원숭이띠, 말띠와 양띠

삼합 : 원숭이띠와 쥐띠와 용띠, 돼지띠와 토끼띠와 양띠, 호랑이띠와 말띠와 개띠, 뱀띠와 닭띠와 소띠

 

 

10. 속궁합 : 사주궁합법

 

사주 궁합법은 띠만 갖고 보는 겉궁합과는 달리, 남녀 모두의 연월일시 사주 전체를 갖고 음양오행의 중화(中和) 여부와 육친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궁합의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다.

지금도 우리나라에서는 혼인할 때 사주를 적은 종이(사성・사주단자)를 혼인 전에 교환해 보는 풍습이 있다. 혼인할 두 사람의 사주를 따져 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혼인이 길할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11. 오늘날의 궁합

 

전통사회에서는 궁합의 적합 여부가 혼인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쳐서 사주 궁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혼인이 깨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문명적 사고와 자유혼 풍조의 영향으로 설령 궁합이 좋지 않다고 하더라도 혼인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요즈음에도 다른 조건은 좋은데 궁합이 맞지 않아 혼인을 못하겠다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고, 반대로 다른 조건들은 별로 좋지 않은데 궁합이 좋다는 이유로 혼인을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궁합이 청혼을 거절하는 핑계의 구실로 이용되기도 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띠별 성격과 특징, 잘 맞는 띠, 상극띠, 띠별 궁합-열두 띠 종합편

 

띠별 성격과 특징, 잘 맞는 띠, 상극띠, 띠별 궁합-열두 띠 종합편

띠별 성격과 특징, 잘 맞는 띠, 상극띠, 띠별 궁합, 열두 띠 종합편입니다. '2023년 띠별 나이, 띠별 년생, 띠 년도별 띠별 운세-열두 띠 모음 보기'와 함께 연계해 살펴보세요. 쥐띠 성격과 특징, 쥐

rank-c.tistory.com

▼ 띠궁합 띠궁합표, 띠별 궁합 상극띠 한 눈에 보기

 

띠궁합 띠궁합표, 띠별 궁합 상극띠 한 눈에 보기

두 남녀의 관계가 얼마나 어우러지는지, 얼마나 조화하고 얼마나 어긋날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궁합입니다. 이는 자신이 태어난 생일이 기준이 되어 동양에서는 띠궁합, 띠별 궁합으로, 서양

rank-c.tistory.com

▼ 띠궁합 띠별궁합-커플띠 친구띠 앙숙띠 한 방에 정리 | 네이트운세

 

띠궁합 띠별궁합-커플띠 친구띠 앙숙띠 한 방에 정리 | 네이트운세

각 띠별 특징과 함께 띠궁합 띠별 궁합, 커플띠 친구띠 앙숙띠 한 방에 정리합니다. 본 궁합은 네이트운세를 토대로 합니다. 쥐띠 쥐띠 특징 쥐띠는 눈치가 빠르고 사교적이어서 낯선 환경에 쉽

rank-c.tistory.com

▼ 2023년 삼재띠 2024년 삼재띠, 삼재뜻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2023년 삼재띠 2024년 삼재띠, 삼재뜻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올해는 무슨무슨 띠가 삼재에 들었다더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운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삼재 부분입니다. 삼재뜻과 종류, 2023년 삼재띠와 2024년 삼재띠 알아봅니다. 목차 1.

rank-c.tistory.com

▼ 2023년 계묘년 삼재띠 | 삼재 뜻, 용띠 삼재 부적 바로가기

 

2023년 계묘년 올해 삼재띠 | 삼재 뜻, 용띠 삼재 부적

2023년 계묘년 삼재띠 2023년 계묘년 올해 삼재띠는 원숭이띠, 쥐띠, 용띠입니다. 출생년도로 보면 원숭이띠는 1944, 1956, 1968, 1980, 1992, 2004년생이며, 쥐띠는 1936, 1948, 1960, 1972, 1996. 2008년생이며, 용띠

rank-c.tistory.com

▼ 2023년 계묘년 무료 띠별운세 띠운세 종합편 바로가기

 

2023년 계묘년 무료 띠별운세 띠운세 종합편_ 출생연도별 갑자 포함, 농협 무료 운세

2023년 계묘년 무료 띠별운세, 띠운세 종합편입니다. 각각의 운세 내용은 농협무료운세, 네이트 무료 운세, 다음 무료운세를 참고했으며 계묘년의 육십갑자 원리와 흑토끼, 검은 토끼해의 뜻과

rank-c.tistory.com

▼ 2023년 별자리 운세 - 연간 운세 종합편 바로가기

 

[2023년 별자리 운세 종합편] 연간 운세, 1월 운세, 무료 별자리 운세 사이트 5

양자리에서 시작해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에 이어 궁수자리(사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까지 연간운세, 1월 운세 모두 알아보았

rank-c.tistory.com

▼ MBTI 검사 성격 유형 해석 총정리 보기

 

MBTI 검사 성격 유형 해석 총정리, 이거 하나면 끝!

그동안 MBTI 성격 유형 검사와 해석을 세밀히 알아보았습니다 ISTJ, ISTP, ISFJ, ISFP, INFJ, INFP, INTJ, INTP, ESTP, ESTJ, ESFP, ESFJ, ENFP, ENFJ, ENTP, ENTJ 성격유형 해석을 마치며 총정리 모아 봅니다. MBTI 검사(엠비

rank-c.tistory.com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일생의례사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