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올해는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입니다. '계'에 해당하는 검은 색과 '묘'에 해당하는 토끼가 결합돼 검은 토끼의 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계묘(검은 토끼)란 대체 어디서 튀어나온 말일까요? 그 근간에는 육십갑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육십갑자란 현재의 연도표시가 도입되기 전에 썼던 연대표시인데, 우리가 한국사를 공부할 때 만나게 되는 갑오개혁, 임진왜란, 병인양요 등에서 두 앞글자를 생각하면 됩니다. 줄여서 육갑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천간에 속한 10개의 글자와 지지에 속한 12개의 글자를 해마다 차례로 맞추어 얻는 서로 다른 60개의 조합입니다.
물론 이는 음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2022년 작년이 임인년이었고, 올해가 계묘년인데 이는 십간(천간)과 십이지(지지)를 이해하면 굳이 외우지 않아도 쉽게 조합할 수 있으니 이참에 육십갑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외워야 할 건 십간의 열 개 천간과 십이지의 열 두 개 지지(띠)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육십갑자란
육십갑자란 위에서 말했듯 10간(천간)과 12지(지지)의 60개 조합으로 매해 새해가 되면 새로운 조합으로 연도를 표시합니다. 이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지지에 따라 '올해는 무슨 띠의 해'라고 말하게 되는 거지요.
여기서 천간은 하늘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고, 지지는 땅을 지키는 동물을 뜻합니다. 그럼 십간과 십이지, 그 순서와 조합표를 제시합니다.
십간(10개의 천간) 은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십이지(12개의 지지 )는 자(子. 쥐) · 축(丑. 소) · 인(寅. 호랑이) · 묘(卯. 토끼) · 진(辰. 용) · 사(巳. 뱀) · 오(午. 말) · 미(未. 양) · 신(申. 원숭이) · 유(酉. 닭) · 술(戌. 개) · 해(亥. 돼지)입니다.
육십갑자는 이들 십간과 십이지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니 만약 올해가 갑+자, 갑자년이었다면, 다음해는 을+축, 을축년, 그 다음해는 병+인, 병인년이 되는 거지요. 작년이 임인년이었으니까, 올해는 계묘년이 되는 거고요 어렵지 않습니다. 이렇게 천간과 지지가 맞물리는 것을 '간지(干支)'라고 하는데, 사실 10간과 12지만 외우면 굳이 60갑자를 외울 필요도 없습니다.
띠를 알면 나이도 알 수 있다
12지는일상에서 만나는 상대에 대해 대놓고 '나이가 몇이냐?' '몇년도 생이냐?' 묻기 곤란할 경우, '띠가 어떻게 되냐?' 물음으로서 띠로 나이를 가늠할 때도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호랑이띠인데 상대가 쥐띠라고 한다면 자(쥐), 축(소), 인(호랑이)…순서니까 상대가 나보다 2년 먼저 태어난 것이 되지요. 즉 2살 더 많은 겁니다.
나이 드신 분들 사이에선 띠로 나이를 가늠하는 일은 아직도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12지 정도는 알아두면 좋습니다.
환갑(還甲)은 60갑자가 한 바퀴 돌아오는 것
환갑이란 '(다시) 갑이 돌아왔다'는 의미입니다. 즉 60갑자가 한 바퀴 돌아 생일년도의 간지로 돌아온 것입니다.
환갑 다음을 살펴보면 61세는 진갑(進甲), 다시 60갑자가 펼쳐진다는 의미입니다. 이어 70세를 칠순 또는 고희, 80세를 팔순 또는 산수(傘壽), 90세는 졸수(卒壽) 또는 구순(九旬), 91세는 망백, 99세를 백수, 100세를 하늘이 내려준 나이라 하여 상수(上壽)라 합니다. 여기서 순은 열(10)을 의미합니다.
망백은 백을 바라본다라는 뜻이고 백수(白壽)는 百(일백백)에서 一을 빼면 99 가 되고 白(흰백...흰머리)자가 되는 데서 유래 한다고 합니다
연도별 육십갑자 알아보기, 육십갑자 계산법
올해의 간지는 쉽게 알 수 있지만 문득 자신이 태어난 해의 간지가 궁금해집니다. 특히 요즘 젊은 사람들은 '띠' 정도만 알지 간지까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태어난 년도의 간지를 알려주는 60갑자 계산기도 있는 것 같은데 굳이 어플이 아니어도, 아래에 그 계산법을 제시하니 한 번 따라해 보세요. 자신이 태어난 해의 간지(육십갑자)를 알아보고 외워두면 좋겠지요. 예를 들어 '나는 2023년 계묘년 생이다' 하고 말이죠. 연도별 육십갑자 알아보기, 도표를 보며 진행하겠습니다.
천간(십간)의 경우는 연도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는 2023년니까 연도의 끝자리가 3. 천간표에서 '계'에 해당됩니다. 지지(십이지)는 연도를 12로 나누고 남은 끝자리 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연도 2023을 12로 나누면 2023 ÷12=168+ (나머지 7). 나머지 7에 대항하는 십이지는 '묘'입니다. 그러므로 2023년은 계묘년(癸卯年)이 됩니다.
하나 더 해보겠습니다.
만약 본인이 1996년 생이라 할 경우, 십간은 끝자리가 '6'이니까 '병'입니다. 십이지는 1996 ÷12=166+(나머지 4 ). 나머지 4에 해당하는 십이지는 '자'입니다. 그러므로 1996년은 병자년(丙子年)입니다. 자 그럼, 여러분도 자신의 태어난 연도가 어떤 해에 해당하는지 한번 계산해 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운세 > 운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자리 알아보기 _ 별자리 운세, 동서양 별자리, 음력 양력 차이점과 변환기 (0) | 2023.01.23 |
---|---|
2023년 무료 신년운세, 농협 운세 총정리 | 신년운세, 띠별운세, 신토정비결, 궁합, 로또, 별자리운세... (0) | 2023.01.18 |
2023년 무료 신년 운세_ 신한생명 무료운세, 신한라이프 무료 토정비결 (0) | 2023.01.12 |
2023년 계묘년 흑토끼, 검은토끼해 뜻과 의미 알아보기 (0) | 2023.01.12 |
2023년 계묘년 올해 삼재띠 | 삼재 뜻, 용띠 삼재 부적 (0) | 2023.01.08 |
댓글